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패스 카드 종류 및 이용 방법

300x250

전국 189개 지자체에서 함께 참여하고 있는 K패스!

요즘 물가가 이만저만 아닌 이 때 허리띠를 졸라매야 되는 상황이 많은데요.

그 중에서도 교통비가 생각보다 만만치 않습니다. 아낄 수 있는 곳에서 최대한 아껴본다면

좀 더 윤택한 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K패스 카드 종류 및 이용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를 사용할 수 있는 연령대

K패스의 지원대상을 먼저 알아보면 만 19세이상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주민이면 누구나 사용 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본인 명의의 핸드폰과 K패스 카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참여 지자체의 외국인 주민도 참여 가능합니다.

K패스 사용방법

K패스의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우선 가까운 지하철역이나 편의점에서 K패스를 구입합니다. 카드를 구입한 후, 교통카드 충전기나 편의점에서 원하는 금액을 충전하면 준비 완료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지하철 개찰구나 버스 승차 시 단말기에 K패스를 가볍게 터치하면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모바일 앱을 통해 충전과 이용 내역 조회도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에 K패스 전용 앱을 설치하고, 카드를 등록하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전 잔액과 이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 관리가 매우 편리합니다. 분실 시에는 앱을 통해 카드 정지 및 잔액 이전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적립 수단

적립수단을 보면 모든 교통수단을 통틀어서 얘기를 합니다. 예) 버스,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여기서 KTX나 시외(고속)버스,SRT 등 별도로 발권을 받아야 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으니 이 점 꼭 유의해주세요!

이런 부분에서 은근 헷갈려서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으니 꼭 꼭 주의 하셔야 겠습니다.

 

지급 기준

지급 기준으로 첫달은 월 15회 미만 사용 시에도 지급이 되지만 그 다음달 부터는 최소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지만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60회까지 지급 된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요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이 됩니다.

 

그리고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한다고 합니다.

 

적립률

적립률같은 경우에는 일반은 20%, 청년 만 19세~34세는 30%, 저소득층은 53%를 적립해준다고 합니다.

저소득층의 기준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말하니 적용이 되시는 분들은 꼭 알아보셔서 

혜택을 받아가셨으면 합니다.

 

K패스를 지원하는 카드사

K패스는 국내 주요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지원되는 카드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한카드: 신한카드는 K패스와 함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습니다.

    •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는 충전 편의성과 더불어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K패스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 우리카드: 우리카드는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은 물론 여러 제휴 서비스에서도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 하나카드: 하나카드는 K패스를 이용한 더욱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지원하며,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합니다.
    • 롯데카드: 롯데카드는 K패스와 연계된 여러 할인 혜택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농협,카카오페이,현대카드 등등 각 카드사 마다 혜택이 조금씩 다르니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인천 I 패스

위와 같이 최근에는 인천의 I 패스도 출시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대상 : K패스 회원 중 인천광역시 주민

혜택 : 1. 만 35세 ~ 39세 청년층 혜택 적용

          2. 65세 이상 어르신 혜택 적용

          3. 지급 횟수 무제한

인천광역시 거주하시는 분들 중 해당 나이에 적용이 되신다면 인천I패스를 사용해 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